새로운 주소 체계가 도입된 지 꽤 시간이 흘렀지만, 여전히 예전 주소가 더 익숙하게 느껴질 때가 많습니다. 특히 서류를 작성하거나 택배를 보낼 때, 혹은 낯선 장소를 찾아갈 때면 두 주소 체계 사이에서 잠시 헷갈리곤 합니다. 이럴 때마다 매번 번거롭게 검색하는 대신, 쉽고 빠르게 주소를 변환하는 요령을 알아두면 일상이 한결 편안해집니다. 지금부터 누구나 간단하게 지번주소를 도로명주소로, 또는 그 반대로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
지번주소 도로명주소 변환
오래전부터 사용해 온 지번주소와 새롭게 도입된 도로명주소 사이에서 필요한 주소 형식으로 바꾸는 것을 의미합니다. 때로는 지번주소가, 때로는 도로명주소가 필요해 종종 변환해야 하는 상황이 생기곤 합니다.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변환은 카카오맵 홈페이지에서 손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[카카오맵 - https://map.kakao.com]
1. 지도 홈페이지 화면 중앙이나 상단에 위치한 검색창을 활용해 변환하고 싶은 주소를 입력합니다. 지번주소든 도로명주소든 상관없이 알고 있는 주소를 그대로 넣으면 되기 때문에, 어느 주소를 알고 있더라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
2. 주소를 입력하고 검색하면, 해당 위치에 대한 검색 결과가 목록으로 나타납니다. 이때 각 항목을 살펴보면 기존의 지번주소와 새로운 도로명주소가 함께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내가 찾던 장소의 정확한 두 가지 주소 형식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.
3.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검색된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해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상세 정보 페이지에서는 주소가 더 명확하게 기재되어 있으며, 주소 옆에 있는 '복사' 기능을 이용해 필요한 주소를 간편하게 복사하여 활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.
4. 카카오맵 외에 네이버 지도와 같은 다른 지도 서비스를 통해서도 동일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, 눈에 잘 띄는 검색창에 변환을 원하는 주소를 입력하는 방식으로, 사용 방법은 거의 유사하여 어떤 서비스를 이용하든 편리하게 주소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.
5. 네이버 지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주소를 검색하면 결과 화면에서 해당 위치의 지번주소와 도로명주소를 모두 보여줍니다. 지도 위에 표시된 위치 정보와 함께 두 가지 주소 체계가 나란히 나타나므로, 사용자는 필요한 주소를 즉시 확인하고 정확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이제 주소 변환 때문에 더 이상 머리 아플 필요가 없습니다. 지도 서비스의 검색 기능 하나만 잘 활용하면 언제 어디서든 몇 초 만에 원하는 주소를 찾을 수 있습니다. 이 간단한 방법을 기억해두셨다가 주소가 헷갈리는 순간마다 유용하게 활용해 보시길 바랍니다.